2024. 7. 6. 04:55ㆍ인생
가장 크게는
사람 vs 성과로 나뉜다
<성과 중심>
1. 명령형 리더십 or 강압적 리더십 (Coercive Style)
명령형 리더십은 명확한 지시와 엄격한 통제를 통해 목표를 달성하려는 스타일입니다.
위기 상황이나 급변하는 환경에서 효과적이지만,
장기적으로는 구성원의 사기를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.
- 모토: "내 말대로 해."
- 특징: 즉각적인 복종 요구.
- 사용 시기: 위기 상황, 빠른 변화가 필요할 때, 문제를 일으키는 직원이 있을 때.
- 장점: 빠른 의사결정, 즉각적인 결과 도출.
- 단점: 직원들의 사기 저하, 창의성과 자율성 감소.
2. 비전형 리더십 or 권위적 리더십 (Authoritative Style)
비전형 리더십은 장기적인 비전과 목표를 제시하여 구성원을 동기부여합니다.
이 스타일은 조직의 방향성을 명확하게 하고 구성원들이 자신들의 역할을 이해하도록 도와줍니다.
- 모토: "나를 따라와."
- 특징: 비전을 제시하고 사람들을 동원.
- 사용 시기: 새로운 비전이나 방향이 필요할 때.
- 장점: 명확한 목표 설정, 높은 동기 부여.
- 단점: 지나치게 강압적으로 느껴질 수 있음.
3. 페이스세터형 리더십 or 선도적 리더십 (Pacesetting Style)
페이스세터형 리더십은 높은 성과 기준을 설정하고, 구성원들이 그에 맞추도록 하는 스타일입니다.
이는 고성과자들에게 적합하지만,
다른 구성원들에게는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.
- 모토: "내가 하는 대로 해."
- 특징: 높은 성과 기준을 설정.
- 사용 시기: 동기 부여가 강한 고성과 팀에 빠른 결과가 필요할 때.
- 장점: 빠른 결과 도출, 높은 성과.
- 단점: 직원들이 지칠 수 있음, 지나친 압박감.
<사람 중심>
4. 관계형 리더십(Affiliative Style)
관계형 리더십은 구성원들과의 관계를 중요시하는 스타일로, 팀의 사기와 협력을 증진시킵니다.
이 스타일은 특히 팀워크와 협력이 중요한 상황에서 효과적입니다.
- 모토: "사람이 우선이다."
- 특징: 조화와 정서적 유대를 형성.
- 사용 시기: 팀 내 갈등 해소, 스트레스 상황에서 사람들을 동기부여할 때.
- 장점: 팀워크 향상, 직원 만족도 증가.
- 단점: 성과에 대한 피드백이 부족할 수 있음.
5. 민주형 리더십 (Democratic Style)
민주형 리더십은 의사결정 과정에 구성원들의 참여를 장려하는 스타일입니다.
이는 팀의 창의성과 혁신을 증진시키지만,
결정이 지연될 수 있는 단점이 있습니다.
- 모토: "어떻게 생각해?"
- 특징: 참여를 통해 합의를 도출.
- 사용 시기: 직원들의 의견이 중요한 결정에 필요한 경우.
- 장점: 높은 직원 참여, 다양한 관점 반영.
- 단점: 의사결정이 느려질 수 있음.
6. 코치형 리더십 (Coaching Style)
코치형 리더십은 구성원의 성장과 발전을 도와주는 스타일입니다.
이 스타일은 구성원들의 능력 개발에 중점을 두고, 장기적인 성과를 목표로 합니다.
- 모토: "이렇게 해봐."
- 특징: 직원들의 미래 발전을 도모.
- 사용 시기: 직원들의 성과 향상이나 장기적 강점 개발이 필요할 때.
- 장점: 직원들의 능력 향상, 장기적 성장.
- 단점: 시간이 많이 걸릴 수 있음.
예)
하우스키핑 직원들이 가장 비싼 객실과 가장 좋은 팁을 받을 수 있도록 방을 순환하는 새로운 시스템을 고려하고 있습니다. 각 리더십 스타일을 사용하여 이 상황을 어떻게 처리할지 상상하며 다음과 같은 접근 방식을 생각해 보았습니다:
- 강압적 스타일: "이제부터 모든 직원은 방을 순환하게 됩니다. 이 시스템을 따르지 않으면 안 됩니다."
- 권위적 스타일: "이 새로운 시스템은 우리 팀이 더 공정하게 일할 수 있게 도와줄 것입니다. 모두가 가장 비싼 객실과 최고의 팁을 받을 기회를 가질 것입니다."
- 관계지향 스타일: "우리 팀 모두가 공정하게 대우받고, 최고의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새로운 시스템을 도입할 예정입니다."
- 민주적 스타일: "새로운 시스템에 대해 여러분의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. 어떻게 하면 더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까요?"
- 선도적 스타일: "저는 이미 새로운 시스템을 시도해 봤고, 좋은 결과를 얻었습니다. 여러분도 이 시스템을 따르기를 기대합니다."
- 코칭 스타일: "이 새로운 시스템은 여러분의 업무 경험을 다양하게 만들어 줄 것입니다. 이를 통해 더 많은 기술을 배우고 성장할 수 있을 것입니다."
결론
필요에 따라 다양한 스타일을 조화롭게 활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.
리더는 자신과 팀의 강점과 약점을 잘 이해하고, 상황에 맞는 접근 방식을 취해야 합니다.
'인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MZ가 퇴사하는 이유 (0) | 2024.07.16 |
---|---|
여럼풋이 알았지만 금방 까먹는 뇌의 법칙 (0) | 2024.07.10 |
수학 시험을 보다 신념을 마주하다 (0) | 2024.07.04 |
사람의 바뀔려면 죽다 살아나거나 똑같은 일을 1000일 동안 해야한다 (0) | 2024.06.22 |
싫어하는 일을 억지로 노력하면 되고 나서도 문제다 (0) | 2024.06.02 |